DHL+Tetra Pak, 물류창고 디지털 트윈 시스템 개발
작성자 :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송상화 교수 / LoTIS 2019.08.29 게시DHL은 2019년 8월 Tetra Pak과 공동으로 Tetra Pak의 싱가포르 물류창고에 사물인터넷 기반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구축하고 물류창고 관련 정보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최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프로젝트 결과 발표 [1]
- DHL은 스마트 물류 시스템 구축을 위해 디지털 기술 개발 및 실제 물류 현장 적용에 노력해왔으며, 물류창고 로봇, 증강현실 기반 피킹, 블록체인, 자율주행트럭 등 최신 기술에 기반한 혁신 사례를 발표해왔음 - 스마트 물류 창고 구축을 위한 기반 인프라로 물류 창고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중앙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및 실시간 대응하는 기능 구현은 매우 중요한 단계 - DHL은 디지털 트윈 시스템 개념 연구를 바탕으로 Tetra Pak의 싱가포르 물류창고에 실시간 모니터링 및 최적 대응 시스템인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 완료
디지털 트윈은 비즈니스 현장을 컴퓨터 모델로 변환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이벤트 발생 시 대응하는 디지털 시스템을 의미하며, 과거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수학적 모델에 의존하던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물인터넷 센서 등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것이 핵심 [2]
- DHL은 “Digital Twin in Logistics” 보고서를 통해 디지털 트윈의 5대 핵심 기능 제시 - 5대 핵심 기능은 (1) 물리적 설비를 정확히 묘사하고, (2) 물리적 설비와 1대1로 연결되며, (3)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4) 물리적 설비와 24시간/365일 끊김 없이 연결되어 실제 문제 발생 시 즉시 파악이 가능하며, (5) 물리적 설비에 대한 모니터링/분석/예측/최적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기 위한 5대 기술로는 (1) 증강현실/가상현실 기술, (2)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3) 사물인터넷 기술, (4) 인공지능 기술, (5) API/개방형 표준 기술이 있음

그림1.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5대 핵심 기술 예시 [2]
DHL과 Tetra Pak이 구현한 스마트 물류창고를 위한 디지털 트윈 시스템은 안전(Safety)을 중심으로 정보 가시성 확대, 최적 의사결정에 따른 운영 효율성 제고 등의 기대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3]
-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으로 물류 설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설비별 최적 의사결정 등을 통해 16% 이상의 운영 효율성 향상이 예상됨 - 제한 구역 내 이상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물품 보관의 보안성 강화 (외부 침입이나 상품의 제한 구역 이탈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 - 온도 센서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콜드체인 물류의 정확한 온도 관리 가능 - 확보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물품 보관 위치를 최적화하고, 이를 통해 운영 효율성 강화 및 완벽한 물류 흐름 제어에 기여 - 관리자에게 다양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리자의 최적 의사결정에 기여 - 지게차 등에 센서를 설치하고 문제 발생 가능성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물류창고 안전 강화

그림2. 스마트 물류창고 디지털 트윈 시스템 예시 [4]
경영환경의 변화로 물류창고 고도화가 시급한 상황에서 스마트 물류의 기반 인프라로 디지털 트윈 시스템이 보급될 경우 최적 의사결정이 가능해지고 물류 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
- 지금까지 물류창고는 수작업에 의존하여 대부분의 데이터가 시스템화되지 못하고 사라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창고의 최적 제어가 어려운 현실 - 스마트 물류창고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류창고 현장을 디지털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한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 시스템 구축은 스마트 물류 구현을 위한 첫 발걸음 - 향후 디지털 트윈 구현을 위한 비용이 낮아질 경우 물류창고의 스마트화, 디지털화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됨
본 사이트(LoTIS. www.lotis.or.kr)의 콘텐츠는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 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핵심단어 | 디지털 트윈 시스템최적 의사결정트윈 시스템 구축스마트 물류운영 효율성 |
자료출처 | parcelandpostaltechnologyinternational (2019.01.01) logistics (2019.01.01) logisticsinsider (2019.01.01) logistics (2019.01.01) |
첨부파일 |
집필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