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의 혁신과 진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트랜드 분석(2)
작성자 : 이철웅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교수 2021.12.10 게시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정보 동향
국내외 특허기술 분석에서는 조사대상국인 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및 Patent Cooperation Treaty (PCT)에서의 이전 구간 대비 출원증가율, 출원 점유율 및 국가별 외국인 출원증가율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특허가 출원된 후 18개월이 경과된 후 관련 정보를 대중에게 공개하므로, 2020~2021년 출원된 특허는 정량적 의미가 유효하지 않으므로 정량분석은 2019년 말까지로 한정하였다. 풀필먼트/라스트마일 물류기술의 연도별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거시적인 관점에서 2005년경 잠시 감소했던 것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꾸준하게 출원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은 88건으로 전체 유효특허 중 1%를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은 6113건으로 전체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은 17건으로 전체 0.3%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은 449건으로 전체 6.6%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은 89건으로 전체 1%를 차지하고 있으며, PCT는 29건으로 전체 0.4%를 차지하고 있다. 각 국가의 연도별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의 연도별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2001년도에 처음으로 특허가 출원되었지만 그 후 특허가 수가 하락과 증가를 반복하였다가 2011년부터 꾸준하게 다시 출원되고 있으며 2014년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2015년에 다시 줄어들었지만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은 2000년도부터 특허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005년에 그 수가 하락하였지만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증가와 하락을 반복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난다. 중국은 2010년도부터 특허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019년에 1553개로 주요 시장국 중에서 가장 많이 출원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일본은 1999년부터 특허를 출원하기 시작하였고 출원과 미출원을 반복하고 있으며 2008년 이후 특허가 출원되지 않다가 2017년 관련 특허가 다시 출원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출원건수가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유럽은 1998년도부터 특허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증가와 하락을 반복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출원되는 건수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PCT의 경우에는 2000년부터 특허를 출원하기 시작하였고 출원과 미출원을 반복하고 있다가 2015년부터 특허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전체적으로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림1. 그림 1. 주요시장국 연도별 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출원 동향

그림2. 그림 2. 국가별 연도별 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출원 동향

그림3. 그림 2. 국가별 연도별 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출원 동향

그림4. 그림 2. 국가별 연도별 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출원 동향

그림5. 그림 2. 국가별 연도별 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출원 동향

그림6. 그림 2. 국가별 연도별 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출원 동향

그림7. 그림 2. 국가별 연도별 풀필먼트/라스트마일 특허출원 동향
풀필먼트/라스트마일 기술성장단계
기술성장은 일반적으로 태동 ⇒ 성장 ⇒ 성숙 ⇒ 쇠퇴 ⇒ 회복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림 3은 Fulfillment 기술 분야의 전체 및 해당 국가의 기술 위치를 포트폴리오로 나타낸 것으로 전체 출원 건수 중 최근의 출원 동향을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별 특허 출원인 수 및 출원 건수를 나타내어 특허 출원 동향을 통한 기술의 위치를 살펴볼 수 있다. 각 구간은 1구간(2000년~2004년), 2구간(2005년~2009년), 3구간(2010년~2014년), 4구간(2015년~2019년)으로 나누었다. 풀필먼트/라스트마일 기술 분야는 전체적으로 1구간(2000년~2004년)부터 4구간(2015년~2019년)까지 출원 건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출원인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성장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특허의 기술 위치는 1구간(2000년~2004년)에 특허가 출원되기 시작하다가 2구간(2005년~2009년)에서 특허 건수와 출원인 수가 감소하였다. 이후 3구간(2010년~2014년)에서 특허 건수와 출원인 수 모두 증가하였고, 4구간(2015~2018년)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성장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특허의 기술 위치는 1구간(2000년~2004년)부터 3구간(2010년~2014년)까지 출원 건수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나타났으며 4구간(2015년~2019년)에서는 출원인 수는 감소하였지만 출원 건수는 증가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성숙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특허의 기술 위치는 1구간(2000년~2004년)에서 3구간(2010년~2014년)까지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가 모두 증가하고 있으며, 4구간(2015년~2019년)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어 성장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특허의 기술 위치는 1구간(2000년~2004년)에서는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 모두 증가하였지만 2구간(2005년~2009년)에서는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 모두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3구간(2010년~2014년)에서는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4구간(2015년~2019년)에서 다시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어 회복기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유럽특허의 기술 위치는 1구간(2000년~2004년)부터 3구간(2010년~2014년)까지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가 모두 증가하고 있었지만 4구간(2015년~2019년)에서 출원인 수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성숙기에 접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8. 그림 3. 주요시장국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그림9. 그림 3. 주요시장국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그림10. 그림 3. 주요시장국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그림11. 그림 3. 주요시장국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그림12. 그림 3. 주요시장국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그림13. 그림 3. 주요시장국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그림14. 그림 3. 주요시장국의 기술시장 성장단계
본 사이트(LoTIS. www.lotis.or.kr)의 콘텐츠는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 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핵심단어 | 풀필먼트라스트마일기술성장특허분석 |
자료출처 | |
첨부파일 | (2021) LoTIS 원고_이철웅_2021_15.docx |
집필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