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sticsIQ, 물류창고 자동화 시장 분석 및 예측 보고서 발표
작성자 :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송상화 교수 / LoTIS 2020.10.21 게시물류산업 시장 분석 기업 LogisticsIQ는 650개 이상의 자동화 전문 기업들을 분석하여 2020 물류창고 자동화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보고서 발표 [1]
- 650개 이상의 물류 자동화 기업 분석 및 100명 이상의 전문가와 인터뷰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이후 물류창고 자동화 관련 시장의 현재 상황 및 향후 전망에 대한 보고서 발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시장 침체로 2020년 물류창고 자동화 시장은 6% 이상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지만, 온라인 비즈니스의 급성장으로 2026년 300억 달러 수준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전세계적인 경제 불황 및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로 물류창고 자동화 시장에 대한 전망 역시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 - LogisticsIQ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이전에 발표한 시장 분석에서는 2020년 12%의 성장이 예측되었으나, 경제 전반의 투자 감소로 2020년 물류창고 자동화 시장은 6% 이상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됨 - 반면 2020년 시장 위축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물류창고 자동화에 대한 수요는 오히려 크게 증가하여 2020년 6% 감소 이후 2021년에서 2026년까지 매년 14% 수준의 고성장을 통해 2026년 300억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 - 이러한 물류창고 자동화 시장의 성장은 온라인 유통 비즈니스의 성장, 옴니채널 유통의 발전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 유통을 하나의 물류창고에서 처리하는 변화, 공급망의 글로벌화 진행, 물류창고 로봇 기술의 발전 및 당일 배송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른 변화로 예측됨 - 온라인 유통 산업의 발전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유통 기업들의 요구 수준을 크게 높이게 되었고, 높은 서비스 품질을 더 적은 인력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물류창고 자동화에 관심을 가지는 기업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물량의 증가 뿐 아니라 주문당 아이템 수의 증가, 포장 및 배송의 복잡함 증가 등으로 전통적 오프라인 유통 산업에서의 물류 프로세스 대비 온라인 비즈니스의 물류 프로세스는 매우 복잡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

그림1. BOXBAY사의 혁신적인 고층적재시스템
물류창고 자동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펀딩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 개발 가속화를 통해 기존 물류창고 자동화를 피킹 등 복잡한 프로세스로 확대하려는 노력도 늘어나고 있음
- Takeoff Technologies (8.6천만달러), Fabric (1.36억달러), Attabotics (8.2천만달러), Exotec Solutions (1.11억달러) 등 대규모 투자가 물류창고 자동화 기술 스타트업에 몰리고 있음 - 스타트업 뿐 아니라 Dematic, Swisslog, Knapp, Opex Corporation, Muratec, AutoStore, Honeywell Intelligrated, Toyota Industries 등 물류창고 자동화 관련 기존 기업들 역시 신제품 개발 및 시장 출시가 활발해지고 있음 - 기존 물류창고 자동화 관련 로봇 기술 개발은 AGV 기반 모바일 로봇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최근 Berkshire Grey, Righthand Robotics, Kindred AI, Covariant, OSARO, Plus One Robotics, XYZ Robotics 등 상품 피킹에 특화된 기업들이 등장하며 물류창고 자동화가 전체 프로세스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글로벌 시장에서 비중이 가장 큰 시장은 미국이며, 모바일 로봇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미국 시장은 2019년 40억달러 수준으로 분석되었으며, 향후 5년간 매년 12%의 성장이 예측되고 있음 - 유럽의 경우 독일, 영국, 프랑스, 북유럽 국가들, 아시아의 경우 중국,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 인도, 호주 등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됨 - 모바일 로봇의 경우 매년 32% 수준의 고성장을 통해 2026년 50억달러에 달하는 큰 시장으로 성장이 예상됨 - 모바일 로봇의 경우 기존 자동화 창고보다 생산성은 다소 낮은 특징이 있으나, 중소형 물류창고에서 인력 투입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여 시장 도입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모바일 로봇의 경우 Geek+, Grey Orange, HikRobot, Locus Robotics, Fetch Robotics, Shopify (6 River Systems), Teradyne (MiR, AutoGuide Mobile Robots), Quicktron 등의 기업이 치열한 경쟁 중
본 사이트(LoTIS. www.lotis.or.kr)의 콘텐츠는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 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핵심단어 | 물류창고 자동화 시장코로나 바이러스물류창고 자동화 관련시장 성장모바일 로봇 경우 |
자료출처 | dcvelocity (2020.01.01) |
첨부파일 |
집필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