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코드 시스템 ( Trace/Tracking인식 기술 )

작성자 : LoTIS 2013.09.05 게시

바코드는 물건 정보, 유통 과정, 재고 현황을 관리하는데 유용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굵거나 가는 검은 막대와 흰 공간의 조합으로 문자, 숫자, 특수 기호를 부호화한 단순한 광학 장치이다.

인쇄된 바코드는 인식 장치의 빛 반사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재생시키고 재생된 데이터를 모아서 업무를 처리하도록 전송한다. 바코드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만들어져 바의 두께와 여백의 비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코드 체계가 완성된다. 바코드는 판독률이 높고 일반 프린터로도 출력이 가능한 장점으로 인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단순 1차원 막대형 바코드로는 정보량에 한계가 있어서 물품 정보 이외에 더 많은 정보를 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2차원 바코드, 4상 바코드 등이 등장하게 되었다.

2차원 바코드는 일정 면적에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데이터를 배열했기 때문에 정보를 많이 담을 수 있다. 물품의 상세 정보, 발송자, 물건의 종류, 주문번호, 수취인, 수량, 주소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내용을 바코드로 표현해 대상물에 부착하기 때문에 별도의 조회 절차 없이 편리하고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4상 바코드는 1차원 바코드처럼 판독 속도가 높으면서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바의 길이를 4종류로 나누고 각각의 조합을 이용해 문자나 숫자로 나타낸다. 4상 바코드는 미국과 영국에서 지능형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구분

바코드

1차원 바코드(선형바코드)

Code 39, Code 93, Code 128, Codabar, EAN, Interleaved 2 of 5-14, MSI Barcode, UPC, 3 out of 5(우편전용) 등

2차원 바코드(스택형)

Codablock F, PDF 417 등

2차원 바코드(매트릭스형)

Aztec Code, Datamatrix, QR Code, Semacode 등

4상 바코드

USPS IMB, RM4SCC(영국 로열메일) 등

차세대 바코드

DataGlyphs, High Capacity Color Barcode(Microsoft Tag), Sony Dynamic Digital Sound 등

표1. 바코드의 종류

훤히 보이는 우편 기술(박종흥 외 2인, 2009)

그림1. 2차원 바코드의 종류

http://www.jlabel.kr/

우편물류에서 바코드는 자동 구분용 이외에 우편물 배달 과정에서 행방을 추적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택배 물류에서는 1985년에 페덱스(FedEx)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여, 효율성과 배송 추적의 새로운 표준으로 고객에게 배달 진행 상황까지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었다.

본 사이트(LoTIS. www.lotis.or.kr)의 콘텐츠는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 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핵심단어 바코드 시스템Trace/Tracking인식 기술4상 바코드2차원 바코드문자 숫자
자료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미래물류기술 로드맵 수립(Ⅰ) 보고서
첨부파일
집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