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 할 물류센터 및 창고 자동화 통계 [Part 1]

작성자 : 고려대학교 정태수 교수 / LoTIS 2020.03.04 게시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빠른 배송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 증가에 인건비 상승까지, 다양한 환경 변화는 물류 및 유통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이러한 제반환경의 변화로 인해 창고 및 물류센터는 자동화를 추진함

6 River Systems 社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라 창고 자동화의 원동력 및 자동화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50여개의 창고 자동화 통계를 일반적인 창고 산업 통계, 창고 비용 및 수익 통계, 창고 효율성 통계, 노동 통계, 창고산업의 자동화 채택 관련 통계, 창고 성능지표 통계 등의 기준에 근거하여 정리하였음 [1]

일반 창고 산업 통계

-  개인 창고의 수 증가

•  미국의 경우, 미국 노동 통계청 데이터에 따르면 개인창고의 수가 2008년 15,203개에서 2018년 현재 18,182개로, 10년사이에 약 3,000개 증가함

창고의 규모 증가

-  보고서[2]에 따르면 2000년 창고의 평균면적이 6,030평방미터였는데, 2017년에는 16,850평방미터로 2.5-3배 증가함

-  창고 규모의 증가로 더 많은 SKU와 물량 처리가 가능해지나 동시에 비용이 상승하고 물동량과 횟수가 증가하는 일종의 trade-off가 존재함

DC별 보유건물 수의 증가

-  2018년 설문조사[3]에 따르면 3개 이상의 건물을 보유하고 있는 DC들 중 2016년에는 28%가 6개 이상의 건물을, 2017년에는 22% 이상이, 2018년에는 27%의 DC가 6 개 이상의 건물을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남

전자상거래 수요 증가는 UPS 등 물류업체들의 내수 매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음

-  UPS의 2017년 보도자료 [4]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수요의 증가로 인해 2016년 1분기 대비 2017년 매출이 5% 증가함

-  소비자들은 단순성 및 개인 편의성, 높은 배송 신뢰성으로 기존 오프라인 구매 대비 온라인 기반 구매 비율을 높이고 있음

창고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격 (임대료 등)이 상승함

-  보고서[2]에 따르면 창고 공간 (대여 등)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창고 임대료 등 가격이 상승함

-  미국의 경우, 2011년과 2015년 사이 창고 임대료가 28.7% 증가하였으며, 창고 공간 공실률 또한, 점차 감소 추세임

제조업체 들의 평균 창고 용량 사용률 (capacity utilization)은 약 68%임

-  설문조사[3]와 Peerless Research Group에서 시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5%의 창고가 100%의 사용률을, 19%의 창고가 81-99% 사용률을 보이고 있으며, 응답자의 53%는 향후 사용률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그림1. Peerless Research Group 연례 설문 조사

https://6river.com/warehouse-automation-statistics/#General

공급업체들은 전자상거래 매출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충족에 대한 압박이 증가하고 있음

-  전자상거래 매출이 매년 15% 이상 증가함에 따라서 공급업체는 더욱 다양한 제품을 보다 빠른 속도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하여 전자상거래 고객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는데 압박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됨 [2]

-  본 보고서는 6 River Systems 의 보고서 “50 warehouse automation stats you should know” [1]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음을 밝혀둡니다.

본 사이트(LoTIS. www.lotis.or.kr)의 콘텐츠는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 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핵심단어 통계 창고공간 수요가 증가함이상 건물 보유전자상거래 수요 증가증가함 창고 규모
자료출처 6river (2020.01.01) westernacher-consulting (2020.01.01) logisticsmgmt (2020.01.01) pressroom (2020.01.01)
첨부파일
집필진